컴퓨터의 종류에 대하여

컴퓨터의 종류에 대하여

컴퓨터의 종류 총정리 컴퓨터의 종류는 처리 서능과 규모에 따라 미니 컴퓨터(Mini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대형 컴퓨터(Mainfram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 슈퍼 컴퓨터(Super Computer)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미국 역사 박물관에 전시 된 DEC(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미니 컴퓨터(Mini Computer) 미니 컴퓨터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주요한 컴퓨팅 플랫폼 중 하나로 간주되었습니다. 그 기간 동안 미니 컴퓨터는 대형…

컴퓨터의 구성요소 총정리

컴퓨터의 구성요소 총정리

컴퓨터의 정의와 기능 컴퓨터란 전자회로(Electronic Circuit)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계산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계입니다.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입력 자료를 받아서 처리하며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여 결과를 출력합니다. 컴퓨터는 한 개 이상의 처리장치(Processing Unit)와 주변기기(Peripheral)로 구성되며,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됩니다. 또한 산술 연산(Arithmetic Operation)이나 논리 연산(Logical Operation)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실질적인 계산 작업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컴퓨터는 종류나 크기 또는…

컴퓨의 활용 분야

컴퓨의 활용 분야

21세기 컴퓨터는 산업, 금융, 의료, 과학기술 및 교육 등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컴퓨터 기능 이외에 다양하고 무궁무진한 컴퓨터의 활용 분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의 과학기술 분야 활용 과학기술 분야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매우 복잡한 수식이나 알고리즘(Algorithm)의 수행 결과를 얻기 위해 컴퓨터를 사용합니다. 컴퓨터가 탄생하기 이전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더라도 일일이 사람이 계산을 해서 답을…

수의 체계

수의 체계

수의 체계, 진수의 종류 기원전 2000년경 고대 수메르에서는 60을 밑수로 하는 60진법을 사용했습니다. 로마 시대에는 12를 밑수로 하는 12진법을 사용했으며 현재 우리는 0~9의 숫자 10개를 사용하는 10진법을 사용합니다. 컴퓨터에서도 이러한 진수들을 사용하며 사용하는 수 체계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각 진수의 수 표기 진법 은 임의의 수를 숫자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임의의 수를 10진법으로 표현하면 10진수가 되고,…

진법 변환

진법 변환

주어진 수를 다른 진법으로 변환하는 것을 ‘진법 변환’이라고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10진법을 주로 사용하지만, 12진법과 60진법도 함께 사용합니다. 연필 1 다스를 12자루, 1 그로스(Gross)를 12 다스, 1피트(Feet)를 12인치(Inch)로 바꾸는 등 단위를 나타낼 때는 12진법을 사용하고, 1시간을 60분, 1분을 60초, 원의 각도를 360도 등과 같이 시간이나 각을 나타낼 때는 60진법을 사용합니다. 2진수, 8진수, 12진수 -> 10진수 2진수,…

정보의 표현 중 비트와 바이트, 그리고 워드는 무엇인가?

정보의 표현 중 비트와 바이트, 그리고 워드는 무엇인가?

비트와 바이트, 워드에 대하여 디지털 컴퓨터는 문자나 숫자 등의 정보를 0과 1의 2진 체계로 부호화한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합니다. 컴퓨터 내부에서 문자 ‘A’와 숫자 ’10’은 다음의 2진 체계로 부호화됩니다. 문자 A와 숫자 10의 부호화 비트(Bit : Binary digit)는 컴퓨터에서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로, 2진수 0 또는 1을 의미합니다. 1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정보는 2개(0, 1)이며, 2비트로…

아스키 코드와 10진 코드, 유니코드란 무엇인가?

아스키 코드와 10진 코드, 유니코드란 무엇인가?

아스키 코드와 10진 코드, 유니코드란 무엇인가? 컴퓨터에는 숫자, 특수 기호, 한글, 영어 등 다양한 문자가 사용되는데, 이들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각 문자를 유일한 값으로 표현하는 코드 체계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코드 체계로는 아스키코드(ASCII), 2 진화 10진 코드(BCD), 확장 2 진화 10진 코드(EBCDIC), 유니 코드(Unicode) 등이 있습니다. 먼저 아스키코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스키코드(ASCII :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컴퓨터의 정수 표현

컴퓨터의 정수 표현

컴퓨터의 정수 표현 우리가 사는 현실에서는 정수를 표현할 때 자릿수에 제한을 받지 않지만 기억공간이 제한된 컴퓨터에서는 N개의 비트를 사용해 2 N 개(0~2 N-1 )의 정수를 표현합니다. 수학에서는 양의 정수를 표현할 때 + 기호를 붙이지 않아도 양의 정수로 간주합니다. 반면 음의 정수는 반드시 – 기호를 붙여 사용합니다. 즉 양의 정수 5는 +5나 5를 모두 허용하지만, 음의…

컴퓨터의 실수 표현

컴퓨터의 실수 표현

컴퓨터에서 소수점을 표현하는 방식에는 고정 소수점 방식과 부동 소수점 방식이 있습니다. 고정 소수점 방식은 소수점이 항상 고정된 위치에 있다는 의미이며 주로 정수 표현에 사용됩니다. 부동 소수점 방식은 소수점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실수 표현에 주로 사용되며, 고정 소수점 방식보다 넓은 범위의 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부동 소수점 방식은 부호 비트, 지수(Exponent) 부분, 가수(Mantissa)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지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구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구성

컴퓨터 시스템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하드웨어(Hard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로 구성됩니다.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적 장치,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고 제어하는 명령어의 집합입니다. 하드웨어 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로 구성되며, 이들은 시스템 버스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드웨어의 구성 아래의 그림은 하드웨어 구성을 보여줍니다. 출처 : a24s.com 중앙처리장치 : 인간의 두뇌에 해당하는 장치로 CPU(Central Processiong Unit)라고도 합니다. 주기억장치로부터 프로그램 명령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