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sh-over / pushover 뜻, 쓰임새, 예시, 동의어

영어에서

push

라는 동사는 ‘밀다’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 단어를 가장 쉽게 접하는 곳은 바로 문인데요.

문에 보면 손잡이 부분에 push와

pull

표시가 된 경우를 많이 보셨을 것입니다.

Push는 바로 문을 밀어서 열라는 뜻이고, pull은 당겨서 열라는 뜻입니다.

Push가 쓰여 있어서 당겼을 때 문이 안 열리는 경우도 있지만 열리는 경우도 많죠?

그래도 반대쪽에서 문을 열려고 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동시에 문을 열려고 했을 때 한 쪽이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표시된 대로 질서를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동사

push



over

라는 전치사와 같이 쓰이면 어떤 뜻일까요?




바로 목적어에 들어가는 명사인 사물이나 사람을

‘밀어서 넘어뜨리다’라는 동사구

가 되는 것입니다.

아래 예시처럼 말이죠.

I tried to push the car over, but it didn’t even budge.

-> 나는 그 차를 밀어 넘어뜨리려고 했지만 꿈쩍도 하지 않았다.

그런데 영어에서는 push와 over가 하이픈(-)으로 연결되어

push-over

(혹은 하이픈 없이

pushover

)라는

명사

를 이루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 단어는 무슨 뜻일까요?

바로 ‘처리하기 쉬운 일, 얻기 쉬운 것, 호락호락한 사람, 만만한 사람’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밀어서 넘어드리려 했을 때(push it over) 쉽게 넘어가는 이미지를 떠올려보면 이 단어의 뜻을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The work today was an absolute pushover.

-> 오늘 일은 정말 식은 죽 먹기였어.

I can go out tonight because my uncle has been always a pushover for me.

-> 삼촌은 내가 부탁하면 항상 뭐든 들어주시니 오늘 밤 나가서 놀 수 있을 거야.

위의 첫 번째 예시처럼 사물이 pushover라면 굉장히 쉬운 일이라는 뜻으로 적절하게 번역하면 됩니다.

또 사람에 pushover라는 표현을 쓴다면 잘 설득 당하는 사람이라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Pushover for 사람

‘은 그 사람을 좋아해서 그 사람이라면 뭐든지 해 줄 것 같은 느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pushover가 사람과 같이 쓰일 때 pushover 대신 쓸 수 있는 동의어로는

sucker

등이 있습니다.

반면 pushover가 사물에 대해서 쓰였을 때는

piece of cake, breeze, no-brainer, cakewalk

등의 동의어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Pushover에 대한 다른 유의어들도 많지만 정확한 동의어는 아투데이즈 이 글에서는 소개하지 않고 추후 다른 글에서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