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미어 -ism
이 글에서는
접미어
-ism
의 뜻과 쓰임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ism 자체가 단어로 쓰일 수도
있습니다.
주로 문맥 상 부정적인 뉘앙스의 ‘주의(主義)’를 의미할 때 이 단어가 사용됩니다.
접미어로써 -ism는 첫 번째로 ‘-하는 행위, -하는 습관, -하는 관행’ 등으로 쓰이는 경우입니다.
비판(
criticize
) 하는 행동, 행위인 ‘비판, 비평’은
criticism
, 표절(
plagiarize
)을 하는 ‘표절 행위’는
plagiarism
입니다.
Baptism, aphorism,
magnetism
등도 있습니다.
-ism이 접미어로 쓰일 때 ‘-의 특징을 나타내는 행동양식’의 뜻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
영웅(
hero
) 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것에 대해
heroism
(영웅적 행위), 애국자(
patriot
)처럼 행동하거나 생각하는 것을
patriotism
이라고 하는 것처럼 앞에 붙는 어근을 가리키는 사람이나 사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행동, 행위를 덧붙이는 접미사가 바로 -ism입니다.
이외에도 접미사 -ism이 붙어 위와 같은 쓰임새를 보이는 단어로는
vegetarianism,
externalism
, conservatism, opportunism, jingoism, feminism, romanticism, capitalism,
despotism
, atheism, theism, fanaticism
등도 있습니다.
또, 접미어 -ism은 특정 제도, 체계, 이론, 학설 등의 이름이나 창시자의 이름과 결합하여 해당 ‘주의(主義)’를 칭하는 단어가 되기도 합니다.
루터(
Luther
) 교는
Lutheranism
, 칼뱅(
Calvin
) 주의는
Calvinism
, 개신(
Protestant
) 교는
Protestantism
이라고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Congregationalism,
Mohammedanism
, Palamism
등도 있습니다.
어근이 표현하는 의미 내에서 존재하는 차별을 나타낼 때도 접미어 -ism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성(
sex
)를 차별하는 것을
sexism
, 인종(
race
)을 차별하는 것에 대해서
racism
이라고 하는 것처럼 말이죠.
Classism, speciesism,
heterosexism
, ableism
등도 어근이 가리키는 집단 내에서 존재하는 소집단끼리의 차별 행위를 표현하는 단어들입니다.
Colloquialism
, Americanism,
archaism
, Shakespearianism, Atticism, Gallicism
처럼 어근의 의미 내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특징, 특이한 점
을 뜻하는 단어를 형성할 때도 접미어 -ism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